728x90 반응형 Books/Music13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 로버트 다이머리 나도 일종의 수집벽이 있는 듯 하다. 지금도 잘 버리지 못하고 많은 것들을 끼고 있지만, 예전에 정리하면서 버렸던 것들을 생각하면, 꽤 많은 것들을 소유하고 있었다. 지금 가장 많은 수집 대상이라고 하면, 당연 책이다. 책이라면 무조건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야 하고, 한 권의 읽기가 끝나기 전까지 다른 책은 손에 잡지 않았다. 그리고 읽은 책이든 읽지 않은 책이든, 책은 무조건 버리지 않고 책장과 책상에 두었다. 그러다 책이 책장과 책상으로 감당할 수가 없는 지경(회사의 책상과 책장들까지 포함해서)에 이르러서야 정리하면서 내가 읽어서 재미없었던 책들은 정리(중고 도서 판매 혹은 도서관 기증)하게 되었다. 수집 품목 중의 다른 하나가 음반, CD였다. 음악은 거의 항상 틀어 놓는 편이다. 집에서도 회사.. 2024. 10. 6. <한국 팝의 고고학 1990: 상상과 우상>, 신현준, 최지선, 김학선 기대가 컸기 때문에 실망이 큰 것일까. 1990년대로 오면서 모르는 가수보다는 아는 가수들이 많아졌고, 모르는 노래들보다는 아는 노래들이 많아졌다. 그래서 1960년대나 1970년대, 1980년대와 비교해서 더 재미있게 읽을 줄 알았다. 하지만 그렇지 않았다. 내용은 산만했으며 지루했다. 이후의 모든 내용은 앞선 1960~1980년대의 이야기들과만 비교한 감정임을 밝혀둔다. 우선 '고고학'이라는 의미가 1990년대로 오면서 희미해지는 기분이다. 1960년대로 첫 이야기를 시작하며 이 책에 '고고학'이라는 단어를 붙인 이유를 설명했다. 그런데 그 이유가 사라진 느낌을 받았다. 뭐, 내가 전문가가 아니기에 그 느낌을 정확하게 표현하기는 어렵겠지만, 뭔가 발굴(?)되는 느낌이 사라진 기분이랄까. 그래? 그랬었.. 2022. 11. 17. <한국 팝의 고고학 1980: 욕망의 장소>, 신현준, 최지선 부제가 있었다. 그러고 보니, 1960년대와 70년대 이야기에도 각각의 부제가 있었던 듯 하다(읽은지 얼마되지 않은 것 같은데, 벌써 기억에 없다). 부제를 미처 신경쓰지 못하고 읽기 시작해서인지, 왜 갑자기 공간에 대한 이야기가 등장하나 했었다. 80년대는 공간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이야기이다. 시대와 공간, 그리고 그 안의 음악 이야기라고 보면 좋을 것 같다. 다만 그 공간이 서울 내에서의 이야기였다는 점에서 조금 아쉬움이 남는다. 예전이나 지금이나 문화의 주 발생지와 소비지가 서울임을 감안하면 어색하지는 않으나, 서울 외의 지역에 대한 이야기도 추가되었으면 좋았을 것 같다. 아니다, 이미 갖고 있는 이야기 만으로도 책은 충분히 두껍다. 1960년대와 70년대에 등장하는 이야기에는 살짝 집중을 하지 못.. 2022. 10. 28. <한국 팝의 고고학 1970: 절정과 분화>, 신현준, 최지선 1970년으로 들어왔다. 1960년대에서 아는 가수들이 거의 없었다면, 1970년대는 그래도 아는 가수들과 음악인들이 많이 등장했다. 그만큼 내가 나이를 먹었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니까, 한편으로 씁쓸하기도 했지만, 아는 가수들의 등장만으로도 몰입도는 더 커졌고, 그만큼 재미도 있었다. 뭔가 내가 아는 사람들과 관련된 재미난 뒷 이야기를 듣는 듯한 느낌이랄까. 하지만 고고학이라는 단어에서 주는 듯한 전문성이 조금은 떨어지는 느낌도 많았다. '전설로 내려오고 있다' 라던지 '전해지고 있다' 라는 표현들이 1960년에 이어서도 자주 등장하는데, 고고학이라는 것이 발견된 것들을 가지고 미루어 짐작하여 추측한다고 볼 때, 앞서 말한 뒷 이야기를 듣는 듯한 재미가 주어지는 반면 전문적인 느낌은 사라지는 듯한 느낌이 .. 2022. 8. 11. <멜로우 시티 멜로우 팝>, 김김박김 기술이 발달한 탓인지는 모르겠지만, 가끔 읽는 책들이 연결될 때가 많다(유튜브의 추천 영상이나 쇼핑의 추천 목록 등 가끔 알고리듬으로 연결되어 표현되는 부분들은 무서울 때가 있다). 가장 최근에 리뷰한 책은 이었다. 그 책을 리뷰하면서 이 책을 만나게 되었다(알고리듬이 무섭긴 해도 이럴때 좋은 측면도 있다). . 장르가 무언지도 모르면서 이름에서 전해지는 말랑말랑함과 소프트함에 끌렸다. 서평단에 지원하기 전에 간략하게 책 소개를 봤는데, 이건 뭐... 대부분이 내가 좋아하던 음악들이 아닌가. 그렇다. 나는 멜로우 팝 장르를 좋아하고 있었던 것이다. 저자 중의 한 명인 김학선님은 멜로우 팝에 대한 설명을 이렇게 했다. "'mellow'라는 낱말이 주는 이미지, 멜로우 팝이라는 말을 처음 들었을 때 떠오르는.. 2022. 8. 8. <한국 팝의 고고학 1960: 탄생과 혁명>, 신현준, 최지선 음악을 좋아한다. 기타를 치면서 노래를 부르는 가수들에 대한 동경은, 노래를 잘하고 못하고를 떠나, 기타를 잘 치고 못 치고를 떠나, 어느 순간 나의 로망이 되었다. 그 동경과 로망으로 음악 듣는 게 좋아진건지, 음악을 좋아해서 그 동경과 로망이 생겨난건지는 모르겠다. 선후 관계가 뭐 중요하겠는가. 그저 음악 듣는 게, 보는 게 좋았고, 여전히 좋아한다. 언제부터 읽기 시작했는지 기억도 나지 않지만, 을 여전히 읽고 있다. 처음에는 책에 소개되는 앨범들을 수집하기로 마음 억었다. 다 모으면 1001장의 앨범을 갖게 되는 것인가. 그런데 소개되는 모든 음반들이 나에게 다 좋은 것은 아니었다. 들어보고 좋은 음반들만 모으기로 마음을 바꾸었다. 그래서 읽어 나가는 속도가 영 더디다. 지금 1978년 정도의 음.. 2022. 8. 2. 이전 1 2 3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