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휴머니스트8

<여자들의 사회>, 권김현영 "너도 페미냐?"라는 질문을 받으면, 아니다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대답 뒤에 그딴 질문은 하지 말아달라고도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나는 페미니즘을 알지 못하기에 페미니스트가 아닐 뿐이다. 하지만 저런 질문 뒤에 깔려 있는 '혐오'적인 시각을 싫어한다. 여성을 혐오하기에는 내 가족의 어머니, 누나들을, 아내를, 딸을 사랑하고 존경한다. 그럼 페미니스트도 아니면서 왜 이런 책을 읽냐는 질문을 받을 수 있을 것 같다. 우선 이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현상들을 온전한 시각으로 보고 싶기 때문이다. 혹시나 내가 한 쪽으로 생각이 치우쳐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무서움 때문이다. 한쪽으로 생각이 치우쳐 있다면, 앞서 말했던 내 가족의 여성들에게 너무나 잘못된 인식을 갖고 있는 것이 되는 무서움 때문이다... 2022. 3. 14.
<아방의 그림 수업 멤버 모집합니다>, 아방 그림 그리는 것을 좋아한다. 그런데 좋아하는만큼 잘 그리진 못한다. 그래서 그런지 자주 뭔가 그려보려고 하지도 않는다. 무엇인가를 그리는 일은 어려운 일이다. 육아를 하면서 그림을 그릴 일이 많아진다. 내가 그린 그림이나 아이가 그린 그림이나 별반 다를 것이다. 내 그림이 꼭 아이의 그림보다 나아야 한다고는 생각하지 않지만, 추상적인 것을 표현한 것이 아닌 만큼, 적어도 무엇을 그렸는지 알아봐 주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곤 한다. 그림 그리는 것을 연습해 보기 위해 스케치와 관련된 책을 몇 권 구입했었다. 읽은 책도 있고, 여전히 책장 한켠에 꽂혀만 있는 책도 있다. 그림 그리는 일이다. 읽어서 될 일이 아니다. 읽은 것들을 직접 손으로 표현해 보아야 한다. 기억은 망각으로 잊혀질지라도 몸은 추억이라도 .. 2020. 9. 22.
<살 빼려고 운동하는 거 아닌데요>, 신한슬 제목이 마음에 들었다. 나도 운동을 좋아한다. 운동을 하면서 땀 흘리는 걸 좋아한다. 운동을 하고 심장 박동이 요동치는 느낌을 좋아한다. 운동을 하고 난 후 근육에 배기는 알이 주는 느낌을 좋아한다. 그런데 참 운동을 하는 게 귀찮다. 육아를 핑계로 몇 달 째 그나마 점심시간동안 하던 운동도 쉬었다. 몸에 바로 이상 신호가 왔다. 우선 체력이 급속도록 떨어 졌다. 피곤은 더 쉬이 찾아 왔다. 면역력도 바닥을 쳤다. 처음으로 결막염에 걸려 보았다. 편도선도 자주 부었다. 감기 몸살을 앓았고, 12월과 1월 독감을 두 번이나 앓았다. 허리가 못 펼 정도로 아파 도수치료라는 것도 받아 보았다. 이래서 정말 죽겠다 싶어 이번주부터 다시 점심시간마다 운동을 시작했다. 난 마른 편이다. 아니 말랐다. 그게 항상 컴.. 2020. 2. 13.
<다시는 그전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다>, 권김현영 제목이 주는 강렬함들이 있다. 그 강렬함에 이끌려 책을 구매하곤 한다. 이 책은 지난번에 이어 운이 좋게 서평단에 모집되어 읽게 되었다. 서평단에 신청을 한 이유가 아마도 제목이 주는 강렬한 이끌림 때문이었을 것이다. 책을 읽어 보니 책의 진정한 의미를 알 것도 같았다. 다시는 그전으로 돌아가지 않는 것이 아니라, 돌아가지 못하는 것일 것 같다. 페미니스트 이전의 삶과 이후의 삶이 달라진 것처럼 말이다. 페미니즘이나 페미니스트라는 단어를 쓰기가 무서운 세상이 되었다. 어떤 특정한 단어를 사용하지 못하는 사회나 현실이란 것이 현 시대와 맞지 않아 보이지만 말이다. 남성이든 여성이든, 어느 한 쪽이 차별이 당하고 있다는, 성(性) 구별이 아닌 성(性) 차별이 일어나는 세상이 아직은 뭔가 합리적이지 못한 불합.. 2019. 11. 13.
<논어>, 공자 논어.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공자. 혹 논어를 모르는 사람도 공자는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도 논어를 읽어 본 사람이나, 공자에 대해서 잘 아는 사람은 드물다. 우리가 흔히 아는 고전들이 있다. 많은 고전들이 제목이나 이름을 들어봤을 뿐이지, 읽어보거나 아는 일은 드물다. 나도 그렇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럴 것이다. 알고 싶고, 읽어 보고 싶어 도전을 하지만, 늘 결과가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휴머니스트라는 출판사가 있다. 내가 좋아할만한 책들이 많이 나온다. 최근에 읽은 시리즈도 그렇고, , 등의 책들을 재미있게 읽었다. 사 놓고 읽지 않은 이 출판사의 책들이 더 있을지도 모른다. 서평단을 모집했다. 경쟁률이 높진 않았을 것 같다. 라는 제목이 주는 어려움이 있을 테니까. 나도 그렇고 말이다. .. 2019. 11. 4.
<과학자들 1 : 그래도 지구는 돈다>, 김재훈 과학쪽은 정말 문외한이다. 고등학교때까지도 잘하진 못했어도, 생물, 지구과학, 화학, 수학 등은 좋아했었더랬다. 그런데 어쩐 일인지 영 물리만은 이해하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더 재미가 없었을 것이다. '맥가이버'라는 외화 시리즈가 있었다. 재미있게 봤었던 기억이 난다. 주인공 맥가이버는 그 유명한 맥가이버칼(브랜드 이름이 빅토리녹스인가 그랬다) 하나로 주변 사물을 이용해 뚝딱 뚝딱 무언가 만들어 어려운 상황을 극복해 가는 것이 외화 시리즈의 인기 비결이었다. 그 맥가이버 전공이 물리학이었을 거다. 그래서 물리를 좋아해 보려고 노력도 해 봤지만, 그냥 맥가이버칼을 소유하는 걸로 만족했다. 그림으로 설명해주는 과학책 광고를 보게 되었다. 이게 그 책이다. 목차를 보니, 연대기별로 유명한 과학자들을 소개하고,.. 2019. 10.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