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이 책은 부제에 잘 나타나 있다. 제목은 부제의 축약이고 말이다. 작가는 자신의 작품을 표절하여 기사화한 '오마이뉴스'를 상대로 140일간 투쟁을 하였고, 이 책은 그 투쟁의 기록이다. 개인이 언론사를 상대로 한 처절한 투쟁이며, 강자가 자신이 잘못을 인정하면서도, 쿨하지 못하게 어떻게 약자를 상대하는가에 대한 기록이다. 처절한 투쟁속에서 저자는 유머를 잃지 않으려 하지만, 상황을 이어가는 글은 웃프기만 하다. 이 책이 픽션이면 어땠을까, 마음 놓고 웃을 수 있었을까, 싶기도 하다. 설사 소설이라고 해도 마음 놓고 웃지만은 못했을 것 같다. 그런데 소설이 아니다. 사실이고, 현실이다. 웃픈 세상을 살아 가고 있다.
나 역시 이 책이 아니었다면, 이런 현실을 알았을까. 서울에 살 때는 광화문에 있는 K문고에 자주 갔었다. 1인 시위하는 사람들을 본 것 같기도 하고, 보지 못했었던 것 같기도 하다.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이 솔직할 것 같다. 그들은 거기에 늘 있었지만, 나는 그들을 기억하지 못한다. 저자 역시 본인이 1인 시위를 하기 전까지 그들에게 관심을 갖지 못했었다고 한다. 내가 그렇고, 우리가 그럴 것이다. 내 일이 아니니까, 나 먹고 살기도 빠듯한데, 남의 억울함을 들어줄 여유 같은 것은 사치같다고 느끼고 있었으니까 말이다. 설사 내가 그들의 일에 관심을 갖는다 해도 내가 도움을 줄 수 있는 것들이 없었을 거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니까 말이다.
지금 나는 생각을 해본다.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인생학교 : 세상 - 작은 실천으로 세상을 바꾸는 법>을 읽고 있다. 우선은 내가 할 수 있는 것들을 찾아서 시작을 해 볼 생각이다. 내가 생각하고 있는 것들을 우선 바꿀 필요가 있다. 오마이뉴스가 그렇고, K사와 D포털이 그렇다. 그들이 거대해지는데 내가 무언가를 했다면, 무언가를 접을 필요가 있다. 1인 시위자들이 정말 필요로 하는 것이 관심이라면, 그들에게 조금씩 관심을 가져볼 생각이다. 그들을 통해 내가 갖고 있었던 생각들이 편견일지도 모른다는 것을 알게 될 수도 있다. 이 책을 통해 나의 편견을 발견한 것처럼 말이다. 적어도 나의 변화가 상식이 통하는 세상을 만드는데 조금은 아주 조금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아, 그리고 내가 누군가에게 책을 소개할 경우가 있다면, 무조건 이 책을 권할 것이다. 꼭!!!
728x90
반응형
'Books > Current Even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른 시선>, 엠마 (0) | 2019.06.26 |
---|---|
<악어 프로젝트 : 남자들만 모르는 성폭력과 새로운 페미니즘>, 토마 마티외 (0) | 2019.05.29 |
<근시사회 - 내일을 팔아 오늘을 사는 충동인류의 미래>, 폴 로버츠 (0) | 2018.10.16 |
<당선, 합격, 계급 - 문학상과 공채는 어떻게 좌절의 시스템이 되었나>, 장강명 (0) | 2018.07.16 |
<국가의 사기: 우석훈의 국가발 사기 감시 프로젝트>, 우석훈 (0) | 2018.04.06 |